- 46개 산출지표 5개 핵심 결과 지표로 압축, 별점평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시가 일반택시 경영 및 서비스 평가 방식을 대폭 개편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택시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3일 시에 따르면 기존 46개 산출 평가지표를 5개의 핵심 결과 지표로 간소화해 평가 체계를 명확히 하고, 평가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시민 중심의 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일반택시 경영 및 서비스 평가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0조에 따라 운수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육성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평가 지표가 과도하게 세분화 돼 정책 방향이 불분명해지는 문제, 평가 용역 예산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 흡연·주행 중 통화 등 개별 행태 위주의 평가가 시민 서비스 만족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 등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시는 서비스 평가 부문의 27개 산출지표를 '플랫폼 별점(카카오T 등)'이라는 1개 결과 지표로 통합했다.
이를 통해 연 6500만원의 평가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평가 방식을 도입해 서비스 품질 관리를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경영 평가지표도 기존의 자기자본비율, 교통사고 예방 대책 수립 여부, 2인 1차 비율, 부제 준수 여부 등 정책 초점이 불분명하거나 시대에 맞지 않는 항목을 배제하고 실질적인 경영 성과를 반영하는 4가지 결과 지표로 개편했다.
지난해에는 운수종사자 근속연수, 차량 가동률, 사고 보험률, 보수교육 이수율을 평가지표로 선정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업계 이탈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속연수와 가동률을 중점적으로 반영하고, 대전시의 일반택시 사고율을 낮추기 위해 사고 보험률을 관리 지표로 포함한 것이다.
평가 결과 최우수 업체는 1년간 조수석 상단에 최우수 업체 인증 앰블럼을 게시할 수 있는 특전과 함께 1000만원의 경영 개선 지원금을 받는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택시 시장은 이미 앱 호출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행정 역시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야 한다"면서 "시는 택시 서비스 평가와 인센티브 지급에 앱 별점을 주요 지표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
- 46개 산출지표 5개 핵심 결과 지표로 압축, 별점평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시가 일반택시 경영 및 서비스 평가 방식을 대폭 개편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택시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3일 시에 따르면 기존 46개 산출 평가지표를 5개의 핵심 결과 지표로 간소화해 평가 체계를 명확히 하고, 평가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시민 중심의 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일반택시 경영 및 서비스 평가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0조에 따라 운수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육성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평가 지표가 과도하게 세분화 돼 정책 방향이 불분명해지는 문제, 평가 용역 예산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 흡연·주행 중 통화 등 개별 행태 위주의 평가가 시민 서비스 만족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 등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시는 서비스 평가 부문의 27개 산출지표를 '플랫폼 별점(카카오T 등)'이라는 1개 결과 지표로 통합했다.
이를 통해 연 6500만원의 평가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평가 방식을 도입해 서비스 품질 관리를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경영 평가지표도 기존의 자기자본비율, 교통사고 예방 대책 수립 여부, 2인 1차 비율, 부제 준수 여부 등 정책 초점이 불분명하거나 시대에 맞지 않는 항목을 배제하고 실질적인 경영 성과를 반영하는 4가지 결과 지표로 개편했다.
지난해에는 운수종사자 근속연수, 차량 가동률, 사고 보험률, 보수교육 이수율을 평가지표로 선정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업계 이탈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속연수와 가동률을 중점적으로 반영하고, 대전시의 일반택시 사고율을 낮추기 위해 사고 보험률을 관리 지표로 포함한 것이다.
평가 결과 최우수 업체는 1년간 조수석 상단에 최우수 업체 인증 앰블럼을 게시할 수 있는 특전과 함께 1000만원의 경영 개선 지원금을 받는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택시 시장은 이미 앱 호출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행정 역시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야 한다"면서 "시는 택시 서비스 평가와 인센티브 지급에 앱 별점을 주요 지표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